반응형
OSI 7 layer와 TCP/IP model에 대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OSI 7Layers Model
Application : 종단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됨 , 정보 패킷을 메시지라고 한다.
Presentation : 데이터 포맷과 코딩, 앞축, 암호화를 담당함
Session :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일어나느 대화컨트롤,통신 규약정함, grouping, 에러 복구 담당
Transport : multiplexing과 demultiplexing을 통해서 종단 시스템 간의 데이텨 교환
tcp, udp라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이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를 전달 한다. 트랜스포트 계층 패킷을 세그먼트라 라고 한다.
Network :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datagram을 라우팅 하는 책임을 진다. 출발 호스트에서 인터넷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와 목적지 주소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한다. 이 계층은 ip 데이터그램의 필드를 저으이하며 종단 시슽메과 라우터가 이 필으데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정의하는 프로토콜을 갖고 있다.
Data link : 링크계층 페킷을 프레임이라 부른다.
Physical : 두 장치 사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이렇게 해서 OSI 7계층이라고 한다.
TCP/IP protocol model
5계층으로 구성된다
- application : FTP,SMTP, HTTP,EMAIL,P2P 등등이 있다
- transport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 network (ip) : routing of datagrams from source to destination. IP, ICMP, IGMP,ARP등이 있다.
- link : Ethernet, WiFi등이 있으며 frame을 전달 한다.
- Physical
Encapsulation/Decapsulation
다른 계층으로 패킷을 전달할때 헤도가 붙어서 전달하게 된다. 위아래 양방향으로 전달 할 수있다.
- encapsulation은 위에서 아래계층으로 패킷을 전달하며 이때 header가 붙게 된다.
- decapsulation은 아래에서 위의 계층으로 패킷을 전달하며 이때 붙어있던 헤더는 제거된다.
반응형
'Computer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uter Network]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Application Layer (0) | 2019.09.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