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웹에대한 지식없이 일단 현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일하면서 'node.js역할은뭐지? sql의 역할은뭐지? webpack은 또뭐야?' 라는 의문점을 가지면서 어떤역할을 하는지 모른채로 무작정 코딩을 해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일을하면서 겪은 일들에 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npm 이란?
node packaged manager의 약자입니다. node.js로 만들어진 모듈을 관리하는 툴이므로 모듈을 활용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는 node install을 하면 같이 설치가 된다.
2. npm init
제가 아무것도모르고 package.json을 지운다음에 npm init을 cli창에서 입력해보니 새로운 package.json이 생성되었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점이 발생한것이 기존에 있던 package.json에 작성되어있던 의존성들이 전부 다 날아가 큰일날뻔했던 적이 있습니다. 다행히 git에 기존파일이 있어서 rebuild 할 수 있었지만 이게 아니였다면 저는....워후 생각하기도 싫습니다ㅎㅎ
따라서 npm init은 초기에 package.json를 생성할때 사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3.npm install
npm install은 필요한 package들을 설치해줍니다. 예를들어 'npm install [패키지명]'을 해주면 원하는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npm install은 node_modules가 없더라도 package.json파일만 있다면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npm install을 해준다 하더라도 package.json에 있는 의존성의 버전들과 설치된 버전들이 맞지않아 오류가 날 수 있다. 따라서 npm install 을 한 후에 npm run, npm start를 했을때 찍히는 error log들을 잘확인해보고 어떤 버전들을 받아야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저는 이것때문에 이틀을 고생해서...정말 힘들었습니다...
'What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변수, 메모리 할당 (0) | 2020.04.23 |
---|---|
[정보처리기사] Software architecture (0) | 2020.04.20 |
[Algorithm] 알고리즘 기초 (0) | 2020.02.17 |
AWS vs Firebase 각각의 유용성에 대하여 (0) | 2019.10.11 |
[Bootstrap]Vue checkbox Rendering error (0) | 2019.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