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사에서 git툴을 사용하면서 서버별로 어떻게 branch를 따서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해 헷갈리기 시작하여 다시한번 공부하게 되었다.
나는 GitHub, GitLab 둘 다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 하지만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이 없어서 다른 사람이 사용한 branch를 어떻게 따와야 되고 merge를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었다.
## Github이란?
remote, local 서버를 분리하여 원격으로 코드 관리를 하기위한 툴이다. 대학에서 과제 제출하거나 졸업작품등을 진행할때 git push origin master 와 같은 명령어를 콘솔이나 터미널을 사용하여 github 원격 서버에 코드를 올린 경험이 있을것이다. 이때는 나 혼자서 코드 작성을헀기에 브랜치를 따로 딸 일이 없었이만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 로컬브랜치를 만들어야했다.
## Branch 만들기
// 모든 브랜치 확인하기
git branch
//브랜치 생성하기
git branch mybranch
//브랜치 이동하기
git checkout mybranch
//한번에 브랜치 생성하고 이동하기
git checkout -b mybranch2
위의 명령어들을 사용해서 내 local브랜치들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 Git push/ pull
협업을 하면서 remote에 A클래스가 있고 내가 이 클래스를 pull받아 A' 로 수정하였고 다른 사람이 remote의 A클래스를 pull 받아 A'' 로 수정하였다고 하자. 나와 다른사람이 remote에 같이 push를 하게되면 당연히 충돌이 나게 된다.
이러한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pull을 받는 습관을 들이는게 중요하다. 내가 작성하던 코드를 staging하고 pull받기를 습관화 해야한다.
반응형
'What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at I Learn] Apache Maven (0) | 2021.04.05 |
---|---|
DevOps 에 관하여 (0) | 2021.04.05 |
[What I Learn] MVC의 service vs Dao (0) | 2020.11.16 |
[What I Learn] Shell, Console, Terminal (0) | 2020.11.16 |
MVC pattern (0) | 2020.10.07 |